AAC란 보완 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의 약자로 독립적으로 말이나 글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할 수 없는 사람들의 문제를 감소시키고 언어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구어) 이외의 여러 형태의 의사소통 방법을 말합니다.
말의 발달이 늦거나 조음의 문제가 있는 아동의 말을 보완(augment)하여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을 보충·향상·지원하거나 성대 수술이나 조음기관의 마비로 인해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말 대신에 의사소통 도구 등 다른 대체적인(alternative) 방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합니다.
말하기와 쓰기에 심한 장애를 보이는 사람들의 장애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보완해 주는 임상치료 행위의 한 영역으로, 의사소통을 지원해 주고,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인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상징(symbol), 보조도구(aids), 전략(strategies), 기법(techniques) 등에 관한 총체적인 접근방법입니다. 상징이란 실제 사물, 제스처, 수화, 사진, 그림, 표의문자, 낱말, 점자 등을 말하며, 보조도구란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받는데 사용되는 의사소통 책, 의사소통판, 음성출력도구 등을 의미합니다. 전략은 의사소통 기술을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말하며, 테크닉이란 의사소통 도구나 상징을 이용하여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직접 선택하기, 눈 응시, 스캐닝 방법 등을 말합니다.
AAC가 필요한 이유는 일상에서도 자연스럽게 AAC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도구를 통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여 자발적인 의사소통 시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자발어 또한 증가하여 다양한 의사소통 형태의 변화를 나타내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키고 AAC 중재가 진행되면서 장애인의 자발적 요구하기가 증가함으로써책상을 던지거나 소리를 지리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면서 가족이 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1. 상징(System)
: 전통적인 개념의 시각, 청각, 촉각의 표현으로 제스처, 사진, 수화체계, 그림 표의문자, 인쇄단어, 물체, 구두단어, 점자 등이 포함됩니다.
2. 보조도구(Aid)
: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받는데 사용되는 도구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사소통 책, 의사소통판, 챠트, 기계, 혹은 전자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3. 전략(Strategy)
: 사용자가 의사소통 기술을 늘리기 위해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보조 도구, 상징, 테크닉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특정한 방식 또는 계획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역할 놀이를 통해 의사소통판 사용방법을 익힌다든가 의사소통판의 구성 시 색깔을 코딩해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4. 테크닉(Technique)
: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의사소통도구의 상징을 직접 지적하는 직접선택하기나 제시된 상징들을 하나씩 훑어가다가 학생이 원하는 상징에서 멈추도록 하여 지적하는 방법인 훑기 등이 있습니다.